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8

[일본어 기초 문법 정리] 조건형 및 가정형 (と・ば・たら・から) 목차 거의 끝을 보이고 있는 일본어 기초 문법😁. 여러가지를 다뤘는데 사실 나도 자주 까먹는다. 반복 학습이 중요! 오늘은 조건형 및 가정형에 대해 알아볼 예정이다. 영어를 배울 때는 조건과 가정형을 따로 분리하여 설명하는 문법글이 많은데 일본어에서는 두 형을 분리하여 글을 올리기가 애매하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일본어 공부자료에서 [조건형(가정형)]이라던지 [가정형(조건형)]으로 표현된다. 어쩌면 조건형/가정형을 두번 배우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동시에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섞여서 좀더 섬세하게 뜻을 가려 외워야하는 점이 조금 까다로울 수 있을 것 같다. 그래서 최대한 조건과 가정을 분리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아무래도 우리는 알고 있으니까. 조건과 가정의 차이를.) 자세한 .. 2022. 3. 5.
[일본어 공부 팁] 일본드라마 일본어 자막/스트립트 사이트 최근 "도망치는 건 부끄럽지만 도움이 된다(逃げるは恥だが役に立つ)"로 일본어 말하기 연습을 하고 있다. 인스타 피드에서도 막 떴을 만큼 유행할 때가 아닌, 완결이 다 되고 나서야 보게 된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 이후로 처음 보는 일본드라마다. 공부가 아닌 재미로 먼저 본 드라마인데, 그때는 왓챠를 이용하고 있어서 편하게 볼 수 있었다. 지금처럼 일본어 공부를 하고 있을 때 하필 왓챠에서 넷플릭스로 넘어가게 되면서, 더이상 그 드라마를 보기가 어려워졌다! 넷플릭스는 언어/자막 선택이 왓챠보다 자유로운 점이 좋지만, 어째 일본드라마는 별로 없다! 그래서 위베어베어스로 일본어 음성/일본어 자막으로 공부해보려 했는데, 일본어 자막이 일본어 음성의 자막이 아니라 영어(원어)를 해석한 자막이라서... 일본어 말.. 2022. 2. 21.
[일본어 기초 문법 정리] 사역수수표현 (させてもらう・させていただく・させてくれる・させてくださる) 사역수수표현 사역수수표현이란, 사역과 수수가 합쳐진 표현으로 상대의 허락을 받아 행동한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상대가 하도록 시키다"의 표현인 사역과 "내가 상대의 허락을 받았다"라는 수수의 뜻을 동시에 가져 자신의 행동을 공손하게 표현한다. 일본인 중에는 좋아하지 않는 사람도 일부 있다고 하지만, 통상적으로 나의 행동을 낮춰 정중함을 표현하는데 쓰인다. 결국 "~을 하겠습니다"를 존경, 겸손, 정중으로 표현하는 것과 같다. [정리] 사역형+て+수수표현이 함께 쓰이면 으로 허락/허용의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사역수수표현을 만드는 방법은 동사를 (さ)せて, 즉 사역형으로 바꾼 뒤 수수 표현으로 もらう(いただく)・くれる(くださる)를 붙이는 것이다. 동사를 사역형으로 만드는 방법과 수수표현에 대해서 이전에 작.. 2022. 2. 10.
[일본어 기초 문법 정리] 사역형 (せる・させる) 앞서 일본어의 수동태에 알아보았다. 국어문법을 배울 때 능동,수동,피동,사역 등 여러 단어를 들어서 개인적으로 좀 헷갈린다. 그래서 국어사전에 단어의 뜻을 알아보았다. 능동형 : 능동태를 나타내는 형태. 주어가 행동의 주체로 간주될 때, 그 동사의 유형을 범주화하여 이르는 말. 수동형(피동형) : 피동(남의 힘에 의하여 움직이는 일)을 나타내는 낱말의 형태. 사역형 : 주체가 제삼의 대상으로 하여금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게 하는 동사의 한 형태. 사역형 만드는 방법 1. 불규칙 동사 する➡させる くる➡こさせる 2. 1단 동사 1V(ない)+させる 3. 5단 동사 5V(ない)+せる・す(す로 끝나는 동사에는 못쓴다・話す(はなす)) 자동사와 타동사의 사역표현 1) 자동사의 사역표현 Aは(が) Bを 自Vせる・さ.. 2022. 2. 8.
[뜨개질 대바늘 기초] 시작하기 - 겉뜨기 목차 바늘에 가장 첫단의 코를 만들어 준 모습이다. 바늘의 뾰족한 부분에 실이 가 있다. 코바늘은 사슬뜨기와 짧은 뜨기를 가장 먼저 시작한다. 대바늘은 겉뜨기와 안뜨기가 가장 기초가 된다. 겉뜨기와 안뜨기는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그러나 앞뒤 방향이 달라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뜨개에서 볼 수 있는 V자 모양이 물건의 겉면에 나타나는 것이 겉뜨기라고 한다. V자 뒷부분을 보면 동그랗게 실이 걸려있는 것이 보인다. 그 부분이 물건의 겉면이 나타나는 것을 안뜨기라고 한다. 결국 겉뜨기와 안뜨기는 서로 같은 뜨개형식이나 어느 면이 앞으로 보이는지만 다를 뿐이다. 지금부터 겉뜨기 방법을 하나씩 살펴보자. 바늘 꽂기 먼저 실을 코의 아랫부분에 대고 실을 넣는다. [Point] 왼쪽 바늘에 걸린 코의 매듭부분이.. 2022. 1. 29.
[뜨개질 대바늘 시작하기] 첫 코 잡는 방법 - 왕초보용, 상세 사진 첨부 목차 코바늘처럼 대바늘의 코잡는 법도 간단하다. 한손에 실을 걸고 다른 손으로 바늘을 쥐어 매듭을 만들어 바늘에 매듭을 엮는 방식이다. 처음 뜨개질을 할 때 긴장도 되고 실을 얼만큼 세게 당겨야 할지, 사진과 똑같이 만드려면 손가락을 어떻게 위치하는지에 신경을 쓰기 마련이다. 그러지 말고 실을 어디에서 어디로 가져가는지, 이동 방향에만 신경을 쓰자. 손동작과 손가락이 얼마나 구부려졌는지, 실이 얼만큼 단단하게 당겨졌는지는 사람마다 다르다. 오직 바늘이 이동하는 것, 손이 이동하는 방향에만 조심하여 연습하면 금방 익숙해져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질 것이다. [Tip1] 맨 처음 첫 코 만들기 전에 실을 생각보다 넉넉하게 잡아준다. 코를 잡다보면 실이 금방금방 사라진다. [Tip2] 손에 힘을 풀자. 손에 힘을.. 2022. 1. 28.